거래량 유형별 대응전략
① 거래량 감소 -→ 주가 상승 -→ 급등
선도세력들이 물량매집을 끝낸 후 주가를 띄우는 경우에 많이 발생한다.
거래량을 동반한 장대음봉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보유하는 전략으로 임한다.
그렇지만 거래량이 급증하며 음봉이 발생하는 것은 강력한 매도신호로 주가가
상투권에 도달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반드시 매도한 후에 하락세가 멈추는 새로
운 지지선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관망해야 한다.
② 거래량 감소 -→ 주가 상승 -→ 점진 상승
선도세력들이 물량을 매집 중인 경우가 많다. 거래량이 줄면 주가가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는 반대이므로 몇몇 선도세력들이 물량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나올 수 없는 비정상적 차트다. 이러한 경우도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하락
추세로 반전되기 전까지는 보유하는 전략이 좋다
③ 거래량 감소 → 주가 하락 → 급락
이와 같은 경우는 주가가 급상승한 후 거래량 폭증과 함께 급락 중이거나 회사
의 악재가 노출되어 일부 세력이 이탈할 때 발생한다. 이렇게 급락하는 경우는
적극 매도하여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
④ 거래량 감소 → 주가 하락 → 점진 하락
하락추세일 때 적은 거래량으로 주가가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것은 기술적 반
등인 경우가 많다. 좀 더 관찰하고 매매하는 것이 좋다.
⑤ 거래량 감소 → 주가 횡보 → 바닥권
고점 대비 많이 하락한 상태에서 주가가 더 이상 하락하지 않는 경우라면 바닥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분할매수해야 한다. 거래량이 증가하면 적극
매수한다.
⑥ 거래량 감소 → 주가 횡보 → 고가권
주가가 고점에서 횡보하고 있는 경우 거래량이 감소하면 하락이 임박했다는
신호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매도로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⑦ 거래량 증가 → 주가 상승 → 급등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급등 중일 경우는 활발한 손바뀜이 이루어지면서 상승한
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추세가 이탈되기 전까지 보유하는 것이 좋으나
점진적으로 주가가 상승하는 것에 비해 위험성이 상존한다고 할 수 있다.
⑧ 거래량 증가 → 주가 상승 → 점진 상승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것은 안정적인 상승으로 볼 수 있다.
⑨ 거래량 증가 → 주가 하락 → 급락
일시적인 악재에 의해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주가가 급락하는 경우가 있다. 보
통 이런 경우는 일시 급락 후 재반등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급락 초기에는 매도관
점으로 접근하고 급락 말기에는 매수관점으로 대응해야 한다.
⑩ 거래량 증가 → 주가 하락 → 점진 하락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면 선도세력들이 물량
을 정리하는 경우와 회사에 큰 문제가 발생하여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는 일부
세력이 매도세로 나선 경우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위험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주가가 상승추세에 있을 때
적은 거래량으로 주가가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것은 단기 조정이므로 좀 더 보유
하는 것이 좋다.
⑪ 거래량 증가 → 주가 횡보 → 바닥권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는데도 주가가 횡보하고 있다면 조만간 방향이 결정될
것이다. 주가가 바닥권이라면 상승으로 전환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적극적인 매
수관점이 필요하다.
⑫ 거래량 증가 → 주가 횡보 → 고가권
거래량이 증가되면서 하락하는 경우다. 주가가 횡보하며 거래량이 증가하는
현상은 곧 방향성이 결정될 것을 암시하는데, 주가의 위치가 고가권이라면 에너
지 소진으로 하락으로 전환할 확률이 높다.
'펀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렁이 사육상의 방법 (0) | 2009.02.19 |
---|---|
음식물소화시킬지렁이집펌 (0) | 2009.02.19 |
[스크랩] 최소 5년간 주식투자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이유~!! (0) | 2008.01.01 |
주식 급수표 (0) | 2008.01.01 |
베트남펀드 수익률 급반등…1개월 최고 15% (0) | 2007.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