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om이세상

[스크랩] 안드로이드 유용한 팁

iamthat 2010. 11. 14. 20:33
 
 
[유용한TIP]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에서 액정화면(?)의 입력기 없애기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를 구동시키고서 공부하면서 만들것을 테스트 해볼때 입력 박스에 글자가 타이핑 되면
빨간색으로 칠해놓은 입력기가 자동으로 뜹니다. 저처럼 입력기 화면이 길어지거나,
자동완성기능 테스트를 할때도 어김없이 나타나서 화면을 괴롭혔는데요



Settings(설정) 부분에 가서 여기저기 돌아다녀보니 저걸 끄는 곳이 있더군요.
Settings -> Language & Keyboard settings
(설정 -> 언어 및 키보드) 쪽에 가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요
 Text settings 밑에 체크된 3개를 다 해제해주시면 됩니다.
안드로이드 에뮬이 영어라서 한글로 바꾸고 싶은 분들은 Select locale 에서 언어 변경 하시면 됩니다 ^^

저처럼 답답하신 분들을 위해


 
 
 
 
 
 
안드로이드가 프로세스를 죽이는 순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다 보면 메모리가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안드로이드는 프로세스의 중요도 순으로 프로세스를 제거합니다.

아래는 가장 중요한 프로세스부터 중요하지 않은 순으로프로세스를 나열한 것입니다.

1. foreground process
2. visible process
3. service process
4. background process
5. empty process

메모리가 부족해지면 가장 먼저, 5를 제거하고..그래도 부족하면 부족하지 않을 때까지
4, 3, 2, 1  순으로 프로세스를 제거합니다.

 

 

AVD를 command에서 생성하기

 - could not find virtual device named 문제 해결법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면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emulator: ERROR: bad config: virtual device directory lacks config.ini
emulator: could not find virtual device named 'and2.0'


이 문제는 "C:\Documents and Settings\한글계정\.android\avd"처럼 한글계정인 경우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1. 한글 계정을 영문 계정으로 변경
말 그대로 윈도우 계정명을 변경하고 새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2. 생성한 avd를 다른 곳으로 이동
android move avd -n "생성한 AVD명" -p "경로"
이 명령어를 이용해서 생성한 avd를 한글 이름이 없는 폴더로 이동시키면 됩니다.
예) android move avd -n and2.0 -p c:/avd/and2.0

3. 새로 생성
D:\prj\android-sdk-windows\tools>android create avd -t 1 32M -p d:\prj\avd

-n avd2.1 -s HVGA --force
android create avd -t [ 대상 ID 번호 ] [기타 옵션]
대상 ID  확인 : android list targets

 

 

가상장치에 한글자판 설정법

1. HangulKeyboard.apk 파일을 다운
2. 안드로이드 SDK의 tools 경로 아래에 복사한다.
3. 윈도우 cmd.exe를 실행하여 2번 path로 이동한다.
4. 아래의명령을 실행한다.
    adb install HangulKeyboard.apk

5. 이클립스에서 가상장치를 구동시킨다.
6. 구동시칸 가상장치의 첫화면(메인)에서
    메뉴버튼 >> 설정 >> 언어 및 키보드 를 클릭한다.

7. Android키보드와 한글 접촉식 키보드 를 선택한다.
8. 홈 버튼을 클릭하여 메인으로 이동후 구글 검색창을 클릭하면
   자판이 보임 
 
 
 
 
아무 이유 없이 오류 날때.. 해결하는 3가지 방법...
제가 코딩하면 제일 짜증나게 했던 문제들과 해결 방법에대해서 적어 놓겠습니다.
첫번째 클래스 R문제

xml 문서를 수정했는데 가끔 R 클래스가 변동이 않될 경우가 있습니다. 의외로 해결 방법은 간단했씁니다.

->  R 클래스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 delete 이렇게 하면 자동 빌더로 설정된 경우 xml 문서에 오류가 없을 경우 R클래스가 자동으로 생성 됩니다. (이클립스 기준입니다.)

xml 문서가 작성 규칙에 위배되지 않았는데 X라고 표시되고 R 클래스가 생성되지 않을때...
-> 혹시 xml문서 네임을 대문자로 하지 않으셨나요? xml문서가 대문자일 경우 제대로 인식을 하지 않습니다. xml문서는 네임은 오로지 소문자로만 대문자로 되어있을 경우  문서에 마우스 오른쪽을 가져다 되고 Refactor -> rename
해서 소문자로 변경해 줍시다.

잘되다가 갑자기 아무런 이유없이 않될 경우...
제일 난감한 경우 였습니다. 보통은 왠만한 이유모를 오류는 R클래스를 지우거나 Project -> Clean 을 통해서 해결이 되었는데... 소스에 전혀 문제가 없는데 내가 작성한 어플이 실행이 안될 경우가 있습니다.

-> 일단 파일과 소스를 나두고 새로운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모든 클래스와 xml문서 AndroidManifest문서를 그대로 복사해서 새로 생성한 프로젝트에 복사에 줍니다..

정말 어이없게도 이렇게 하면 되더군요...... 도데체 오류의 이유는 모르겠네요 ;;;; 

 

 

 

 

 

출처 : 나만의 세상
글쓴이 : 알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