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가

분변토의 성분분석

iamthat 2009. 2. 19. 11:59

지렁이 분변토는 낙엽이나 땅 속의 썩은 뿌리 등을 먹고 장 내의 효소에 의해 부숙화시켜 섭취한 먹이의 80% 이상을 그대로 배설한 질소, 인산, 칼륨 등의 함량이 매우 높고 미생물량도 10(8) CFU 이상이 되는 천연비료이다. 또한, 분변토의 단립 구조는 통기성 및 투수성이 매우 우수하며, 비표면적이 크고 양이온 교환용량(2.30-4.60 mg/g-soil)이 높아 탈취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변토의 특성을 유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주기 위해 폐 polyurethane form을 binder로 하여 담체를 제조한 후, 이를 충전한 바이오필터를 대상으로 악취가스 중 황화수소의 제거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담체는 별도의 배지를 사용하지 않고 분변 토 자체에 포함된 유기, 무기물질을 이용하고, 분변토 자체에 있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었다. 황화수소 주입 직후부터 lag phase없이 100%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공간속도 50 h-1인 경우 입구농도 450 ppmv까지 출구에서 황화수소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악취가스의 입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바이오필터의 제거효율이 감소하여 출구의 황화수소 농도가 증가하였다. 이 후 950 ppmv까지 약 93% 이상의 우수한 제거효율은 보였고, 약 61.2 g S·m-3·h-1의 최대제거용량을 얻을 수 있었다. 90% 이상의 제거 효율을 갖는 황화수소의 최대제거용량은 SV 50 h-1에서 300 h-1로 증가함에 따라, 61.2, 65.9, 84.7, 89.4 g S·m-3·h-1로 증가하다가 SV 400 h-1에서는 약 59.3 g S·m-3·h-1로 감소하였다. 공간속도의 증가에 따른 최대제거속도(Vm)와 포화상수(Ks)를 Michaelis-Menten식으로부터 구한 결과, 각각 66.04, 88.96, 117.35, 224.15, 227.54 g·m-3·h-1로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반면 포화상수는 79.97, 64.95, 65.37, 127.72, 157.43 ppmv으로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펀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영혼을 울리는 명상 음악 15  (0) 2009.02.21
거창?  (0) 2009.02.19
농사법   (0) 2009.02.19
지렁이 사육상의 방법  (0) 2009.02.19
음식물소화시킬지렁이집펌  (0) 2009.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