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om이세상

[스크랩] 어플 용어 정리

iamthat 2010. 11. 14. 20:59

증강현실 [增强現實, augmented reality]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현실환경과 가상환경을 융합하는 복합형 가상현실 시스템(hybrid VR system)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미국·일본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증강현실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환경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3차원 가상영상을 겹침(overlap)으로써 현실환경과 가상화면과의 구분이 모호해지도록 한다는 뜻이다.

가상현실기술은 가상환경에 사용자를 몰입하게 하여 실제환경을 볼 수 없다. 하지만 실제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증강현실기술은 사용자가 실제환경을 볼 수 있게 하여 보다 나은 현실감과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카메라로 주변을 비추면 인근에 있는 상점의 위치,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입체영상으로 표기된다.

원격의료진단·방송·건축설계·제조공정관리 등에 활용된다. 최근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본격적인 상업화 단계에 들어섰으며, 게임 및 모바일 솔루션 업계·교육 분야 등에서도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증강현실을 실외에서 실현하는 것이 착용식 컴퓨터(wearable computer)이다. 특히 머리에 쓰는 형태의 컴퓨터 화면장치는 사용자가 보는 실제환경에 컴퓨터 그래픽·문자 등을 겹쳐 실시간으로 보여줌으로써 증강현실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증강현실에 대한 연구는 착용컴퓨터 개발이 주를 이룬다. 개발된 증강현실시스템으로 비디오방식과 광학방식 등의 HMD(head mounted display)가 있다.

 
 
와이파이(wi-fi)
전파, 적외선 전송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망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화상통화와 고속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텔레매틱스(Telematics)
자동차와 무선통신을 결합한 무선인터넷 서비스 

 

플로터(plotter)

컴퓨터 등의 출력 결과를 표나 그림으로 나타내는 출력 장치

 

디지타이저(digitizer)

컴퓨터 등에 그림이나 도형 같은 것의 위치를 부호화하여 입력하는 장치. 

 

유비쿼터스(Ubiquitous)

사용자가 아무데서나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 

 

블루투스(bluetooth)

휴대폰 끼리 혹은 휴대폰과 피씨 간에 파일을 전송하는 무선전송기술 

 
블루재킹(Blue-jacking)
블루투스가 장착된 휴대폰에 퍼뜨리는 휴대폰바이러스

 

USIM

휴대전화 등에 다양한 기능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한 카드. 

 

액티브엑스(ActiveX)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일반 애플리케이션과 웹을 연결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기술. 

 

Toggle(토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하나하나를 토글이라고 함. 

 

SpringBoard(스프링보드)

아이폰을 처음 부팅하면 처음 나오는 스크린을 스프링보드라고 한다.
리스프링은 스프링보드를 재부팅한다는 뜻.
 

 

SSH

프로토콜로서 통신규약의 한종류. 

[데]암호 통신을 이용해서 다른 컴퓨터에 접속한 다음 명령을 실행하거나 파일을 조작하기 위한 규약. 예를 들면, 텔레넷이나 원격 셸을 이용해서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면, 그 구간의 통신은 어카운트나 패스워드를 주고받는 것은 암호화되지 않으므로 악의를 가진 사용자에게 통신 내용을 도청당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암호화하는 것이다.
[망]보안 등급이 낮은 네트워크상에서 보안 등급이 높은 원격 접속 개시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는 규약. 이 규약에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 연결 프로토콜 등 3종류가 있다. 전송 계층 프로토콜은 TCP/IP의 상위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암호화 데이터 전송이나 서버 인증 기능이 있다. 여러 종류의 암호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암호 키의 교환이나 이용하는 암호 기술의 교섭 방법이 정해져 있다.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은 SSH 트랜스포트층 프로토콜의 상위에서 동작한다.
 
 
 
Mobileinstallation
어플들을 설치하기 위한 일종의 인증파일. 

 

DFU모드

Device Firmware Update 모드의 약자.
아이폰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기위한 환경.
 

 

플랫폼(platform)

컴퓨터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컴퓨터는 맨 아래층인 집적 회로(IC) 칩 수준의 하드웨어층, 그 다음 층인 펌웨어와 운영 체계(OS)층, 맨 위층인 응용 프로그램층으로 구성되는 계층화된 장치인데, 이 장치의 맨 아래층만을 흔히 플랫폼이라고 한다.
그러나 응용 프로그램의 설계자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플랫폼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응용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위키(Wiki)

웹 브라우저에서 간단한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해 공동 문서를 작성할 수 있고,
사용자들이 내용을 추가할 수 있는 웹 페이지 모음. 네트워크를 통해 산발적으로 의견을 나누는 흥미 있는 방식이다.
형태적으로는 누구라도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인터넷 포럼, 토론장, 레포지토리, 메일 시스템, 공동 작업장 등의 복합 시스템이다.
1994년 Ward Cunningham이라는 디자인 전문가에 의해 자동화 도구로 개발된 이후 다양한 디자인 패턴 축적과
 대가들의 참여로 대표적인 디자인 패턴 사이트가 됐다. 

 

 

출처 : 나만의 세상
글쓴이 : 알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