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취된 차가 |
우리는
높이 40-50미터 정도되는 자작나무 숲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곳곳에 채취의 현장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차가버섯은 자작나무에 착생하는
생리때문에 채취와 함께 흔적이 남는것은 곳곳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
 |
좌측의 사진은 죽은 차가가 착생했던 자작나무의 흔적입니다. 우측의 사진은 40-50미터 되는
자작나무를 밑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 |
우리는 이내 곧 차가가 달린 자작나무를 발견하게 됩니다. 금일은 눈발이 날립니다.채취자는 나무를 올라가기 위한 장비를 점검하고
나무를 타게 됩니다. |
 |
좌측사진의 차가가 달린 자작나무의 높이는 40M정도 되며 차가가 달린 높이는 20M 정도의 높이에
착생했던 경우입니다. | |
차가가 달린 자작나무는 도끼로 강하게 내리쳐 채취하게 됩니다. |
 |
단단한 자작나무의 심재까지 차가가 착상하게 되므로 강한 공구로 차가를 채취해야 합니다.
| |
아래의 사진은 좀 더 오래된 자작나무에서 채취하는 모습입니다 |
 |
채취된 차가의 외형은 껍질은 검은색의
형태입니다. | |
아래는 위의 차가의 내부 (즉, 자작나무에 착생한 부분입니다) |
 |
손가락으로 누르게 된다면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로 말랑말랑합니다. 이 부분은 나무의 목질과 접하는
나무목질 구간입니다. 영양공급원이 되는 셈이지요. | |
이외에 아주 큰 차가버섯을 볼수 있습니다. |
 |
좌측의 차가버섯은 30년 이상된 자작나무에 착상된 형태입니다. 우측의 사진은 유사버섯인 뚜르또니
버섯입니다. 유사버섯인 뚜르또니 버섯 또한 자작나무에 기생하여 사는 생리를
가집니다. | |
|
 |
차가버섯이 성장하게 되면 자작나무는 죽게 됩니다. 자작나무에 차가버섯이 착생하면 자작나무는 얼마있어
죽게 됩니다. 한그루의 자작나무에서 채취할 수 있는 차가는 많지 않습니다. 좌측의 사진을 통해 차자작나무의 단면을 보게 됩니다.
| |
자른 단면을 보면 심재까지 차가가 착상한 것을 알수 있습니다. |
 |
대략 1미터가 되는 나무작대기를 넣어보면 뿌리가 깊게 착상한것을 알수 있습니다. 실질적으로는
구멍저위에도 차가버섯 영양권내의 깊이는 3M정도 되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구멍주위에도 역시 차가의 영양권내에 있다는
| |